25년 출산 예정 예비 엄마의 임신/출산 제도 총 정리 (2025년 기준 + 경기도 정책)

안녕하세요 ☺️

저는 25년 8월에 출산 예정인 예비 엄마 입니다.
임신은 처음이라 어떤 제도가 있는지 알아보고 정리했습니다.

아무래도 직장을 다니다보니 휴가와 급여(?)에 대한 제도가 어떻게 되어 있는지 관심이 많이 생기더라고요.

출산휴가, 육아휴직 계산기도 준비했으니 꼼꼼하게 챙겨서 건강한 출산해요!

경기도 임신/출산 제도 지원 내용 이미지

경기도 임신/출산 제도 (아이러브 프로젝트)

2025년도 임산부 지원 정책

임산부 교통비 지원

  • 지원 대상: 분만취약지역에 주민등록을 둔 임산부
    (임신 3개월 ~ 출산 후 6개월)
    (연청, 가평, 양평, 안성, 포천, 여주)
  • 지원 내용: 1인 100만원
    대중교통비, 택시비 및 자가용 유류비 지원
  • 신청방법: 주민센터 방문 혹은 온라인 정부 24 신청

진료비 바우처 (국민행복카드)

  • 지원 대상: 임신/출산(유산/사산 포함)이 확인된 건강보험 가입자 또는 피부양자 중 임신/출산 진료비 지원 신청자
    (2세 미만의 영유아의 법정 대리인 포함)
  • 지원 내용: 임신 1회당 100만원 이용권 국민행복카드 지원
    (다태아: 140만원, 분만취약자[19세 미만 청소년의 경우] 20만원 추가)
  • 기간: 출산 후 2년까지를 기한으로 사용 가능.
    임산부의 진료비, 약제비 혹은 2세 미만 유아의 진료비, 약제비를 결제할 때 사용 가능.
  • 신청 및 사용 방법:
    • ‘국민 행복카드’를 발급 받는다.
      [신한, 삼성, 롯데, 국민, BC 카드사 중 혜택을 보고 선택해서 발급 받으면 된다.]
    • 진료,약제비를 ‘국민 행복카드’로 결제를 한다.
    • 결제 후 안에 들어 있던 지원금이 자동 차감되는 방식이다.

2025년도 출산 지원 정책

첫만남 이용권

  • 지원 대상: 출생 아동에게 200만원 이상의 첫만남 이용권 지급
    (출생아로서 출생시고되어 정상적으로 주민등록번호를 부여받은 아동)
  • 지원 내용
    • 바우처 카드 내 포인트 지급
    • 첫째: 200만원, 둘째 이상 300만원
  • 신청 방법
    • 주민센터 방문 혹은 온라인 복지로에서 신청
    • 서류
      • 신분증
      • 대리 신청시 위임장, 보호자 신분증 사본 제출, 대리인 신분증

경기도 오산 출산장려금

  • 지원 대상: 부 또는 모가 오산시에 주소를 6개월 이상 두고 출생/입양 신고를 한 경우 신청 가능
    (거주기간이 6개월 미만인 경우 6개월이 경과하였을 때에 신청 가능)
  • 지원 내용
    • 첫째아: 200,000원
    • 둘째아: 500,000원
    • 셋째아: 3,000,000원 (매년 100만원씩 3년간 분할지급)
    • 넷째아: 6,000,000원 (매년 200만원씩 3년간 분할지급)

경기도 오산 출산축하용품

  • 지원 내용
    • 출생/입양 신고 후 1년 이내 출생아의 부 또는 모가 신청 (신청 후 한 달 이내 지급)
    • 지역화폐 10만원 1회 지원
  • 문의: 가족보육과 (031-8036-7487)

참고: 아이사랑

신생아 전기세 감면

  • 지원 대상: 3년 미만 영아가 있는 가정
  • 지원 내용: 전기세 30% 감면 (최대 16,000원)
    쌍둥이의 경우 금액이 늘어가너가 기간이 연장되지 않음.
  • 신청 방법
    • 주민센터 방문
    • 온라인 한전온 신청
    • 한국전력공사(국번없이 123) 전화

산후조리비 지원

  • 지원 대상: 경기도 거주 출산 가정 (아기 출생일로부터 12개월 내에 신청 가능)
  • 지원 내용: 1인당 50만원 (지역화폐로 받을 수 있음)
    다태아: 출생아 수에 따라 50만원의 배수로 지급
  • 사용처
    • 산후조리원
    •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기관
    • 아기용품 판매점
  • 신청방법

맘튼튼 축산물 꾸러미

  • 지원 대상: 경기도 내 출생신고를 완료한 산모
  • 지원 내용: 산모 1인당 5만원 이내 국내산 축산물 꾸러미 지원
  • 신청방법: 경기민원24
  • 가능 지역: 화성, 동두천, 파주, 이천, 포천, 안성, 광주, 가평, 김포, 양주, 남양주, 용인, 하남, 구리, 양평, 연천, 평택 지역 가능
    • 지연 개시 : 군포, 안양, 의왕, 광명(4월15일), 과천(4월30일), 안산, 시흥, 부천(5월1일), 오산(7월29일))
    • 신청불가 시군 : 4개 시군(의정부, 고양, 성남, 수원) *사업 미추진

25년도 출산휴가

  • 기간: 총 90일
  • 급여: 통상임금의 100% 지급

배우자 출산 휴가

  • 기간: 20일
  • 급여: 통상임금의 100% 지급

2025년도 육아정책

25년 육이지원 3번 개정 주요내용1
25년 육이지원 3번 개정 주요내용2

부모급여 지원

  • 지원 대상: 0세부터 1세까지 영유아를 둔 부모에게 보조금 지급
  • 지원 내용
    • 0-11개월:  월 100만원
    • 12-23개월: 월 50만원
  • 신청방법: 주민센터 방문 혹은 온라인 복지로에서 신청

양육수당

  • 지원 대상: 어린이집·유치원(특수학교 포함)·종일제 아이돌봄서비스 등을 이용하지 않고 가정에서 양육되는 영유아로서 초등학교 미취학 24개월 이상~86개월 미만 아동.
    • 초등학교 취학년도 2월까지(최대 86개월 미만) 지원
  • 지원 내용:
    • 취학 전 24개월 이상 86개월 미만 아동에게 월 10만원을 지원
    • 부모급여 도입에 따라 0~23개월 아동은 부모급여를 지원하고, 24개월 이상부터 가정양육수당을 지원
    • 장애아동 및 농어촌아동은 연령별로 차등 지원(장애아동 10~20만원, 농어촌아동 10~15.6만원)
  • 신청 방법: 주민센터 방문 혹은 온라인 복지로에서 신청

아동수당

  • 지원 대상: 만 8세 미만 아동
  • 지원 내용: 월 10만원 지급 (현금 지급)
  • 신청 방법
    • 주민센터 방문 혹은 온라인 복지로에서 신청

25년도 육아휴직

  • 대상: 만 12세 또는 초등학교 6학년 이해 자녀를 가진 근로자
  • 요건: 재직 중인 회사에서 6개월 이상(고용보험 180일 이상) 근무한 경우에만 권리 보장 받을 수 있음)
  • 기간: 기본 1년
    부모 모두 3개월 이상 사용한 경우, 한 명당 육아휴직 최대 1년 6개월
  • 급여
    • 첫 1-3개월: 통상임금 100% (월 최대 250만원)
    • 4-6개월: 통상임금 100% (월 최대 200만원)
    • 7개월 이후: 통상임금 80% (월 최대 160만원)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위로 스크롤